America’s AI Action Plan

 

미국의 AI 실행계획 (America’s AI Action Plan) 

https://www.whitehouse.gov/wp-content/uploads/2025/07/Americas-AI-Action-Plan.pdf


📌 개요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AI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경제·군사적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AI 실행계획을 발표함. 해당 계획은 △ 혁신 촉진 △AI 인프라 구축 △ 국제 외교·안보 주도라는 3대 축을 중심으로 구성됨

1. Pillar I – AI 혁신 가속화

  • 규제 완화 : 바이든 행정부의 AI 관련 규제를 폐기하고, 민간의 자율적 AI 개발 촉진

  • 표현의 자유 보장 : 정부 조달 모델은 정치·이념적 편향이 없는 LLM에 한정.

  • 오픈소스 장려 : 오픈소스·오픈웨이트 AI를 전략적 자산으로 간주하고 인프라 지원 확대

  • AI 채택 장려 : 규제 샌드박스 도입 및 민간·산업 분야별 AI 활용 촉진

  • 노동자 보호 : AI 재교육, 세제 혜택, AI 노동영향 분석 등을 통해 고용 안정 도모

  • 국방 활용 강화 : 국방부와 정보기관의 AI 채택 수준을 평가하고 채택 확대 추진

2. Pillar II – AI 인프라 구축

  • 데이터센터 및 반도체 공장 신속 허가 : 전력 인프라와 연계해 AI 개발 속도에 맞춘 확장 추진

  • 국방·정보기관 전용 보안 데이터센터 구축

  • AI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및 사고 대응 체계 정비

  • AI 인프라 인력 양성 및 AI 친화형 전력망 개발 추진

3. Pillar III – 국제 AI 외교 및 안보 주도

  • AI 기술 동맹 수출 : 우방국에 미국산 AI 확산 유도

  • 중국 견제 : 국제 AI 표준 기구에서 중국 영향력 억제

  • 수출 통제 강화 : 반도체·AI 컴퓨팅 관련 수출 통제 강화 및 허점 보완

  • 프런티어 AI 위협 평가 체계 구축 및 생물안보 기술 투자 병행

📌 정책적 시사점

  • 트럼프 행정부는 AI를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민간 주도 혁신과 규제 최소화를 핵심 전략으로 설정

  • 미국 주도의 AI 생태계 확산을 통해 국제 표준 선점과 기술패권을 공고화하려는 구상

  • AI 기반 안보위협 대응 역량과 국방 적용 속도 강화에 중점



백악관 AI 실행계획의 개요(수립 배경과 과정)

https://www.csis.org/analysis/unpacking-white-house-ai-action-plan-ostp-director-michael-kratsios


📌 배경 및 개요

  •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복귀 직후 AI 분야의 주도권 강화를 위해 바이든 행정부의 AI 행정명령을 철회하고 새로운 AI 행동계획(AI Action Plan)을 수립할 것을 명령함

  • 마이클 크라치오스 국장이 중심이 되어 OSTP, 국가안보보좌관, AI 선임보좌관과 함께 6개월간 계획을 수립.

  • 계획 수립을 위해 전 국민 대상 RFI(의견 수렴)를 실시했으며, 약 1만 건의 응답을 수렴함

📌 실행 계획의 3대 핵심 축

  1. 혁신 주도 (Innovation Leadership)

    • AI 연구개발(R&D) 확대 및 투자 확대

    •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기술개발 환경 조성

    • 불확실한 규제로부터 기업 보호 및 예측 가능한 정책 제공

    • AI 활용 분야 확대: 코딩, 생명과학, 과학적 발견 등

  2. 인프라 구축 (Infrastructure Expansion)

    • AI 운영에 필수적인 전력 및 데이터센터 확보

    • 연방정부 차원의 인프라 투자 확대를 위한 명확한 계획 수립

  3. AI 수출 전략 (Exporting the U.S. AI Stack)

    • 미국이 보유한 칩, 클라우드, 모델, 애플리케이션 등 AI 기술 스택의 글로벌 확산 추진

    • AI를 활용하는 외국 정부·기관에 미국산 AI 기술을 우선적으로 공급하도록 정책 지원

    • 국가 데이터가 미국이 제공한 AI 모델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정보주권 경쟁에서의 우위 확보

📌 정책적 시사점

  • 국가경제 및 안보 차원의 AI 우위 확보를 목표로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조치를 제시함

  • 추상적인 전략이 아닌, 구체적인 조치(Action)에 집중한 실행계획으로 기존 정책과의 차별화를 꾀함

  • AI를 통한 글로벌 영향력 확대 및 중국 견제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음

  • 디지털 인프라 및 산업 지원이 군사 및 방위 산업에도 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미국의 AI 수출 전략은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의 무기체계 및 지휘통제체계와의 기술적 정렬 요구로 이어질 가능성 있음


트럼프 행정부의 AI 행동계획 평가

📌 배경

2025년 7월,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AI 글로벌 주도권 유지를 위해 ’AI 행동계획(AI Action Plan)’을 발표하였음. 이에 대해 Brookings 연구진이 정책 내용과 의미를 분석함

📌 핵심 내용 및 평가

  1. 정책 구조

    • AI 실행계획은 △혁신, △인프라, △글로벌 영향력의 3대 축으로 구성

    • AI 인프라 확대, AI 외교 주도, 일자리 창출, 이념 편향 배제, 악용 방지 등을 목표로 함

  2. 우려되는 규제 접근

    • ‘표현의 자유’ 보장 명분 아래, 정부가 민간 기업의 AI 콘텐츠 설계 개입 가능성 존재

    • 이는 AI 설계 자유를 침해하며 표현의 다양성과 혁신에 부정적 영향 우려

  3. 글로벌 AI 주도권 전략

    • ‘American AI Stack’ 수출 장려를 통한 기술 주도권 확보 추진

    • 유럽(유로스택) 및 인도(인디아스택) 등 자주적 AI 생태계와의 긴장 가능성 증가

  4. 금융 분야 문제 미흡

    • AI를 활용한 신용평가 등 금융 시스템 내 차별적 알고리즘 문제에 대한 대책 부족

    • CFPB(소비자금융보호국) 약화와 FICO 의존 지속은 신용 접근의 형평성 저해

  5. NSF 예산 삭감

    • AI 연구 주도기관인 국립과학재단(NSF)에 과도한 역할을 부여하면서도 예산과 인력 축소 진행

    • AI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인 공공 연구기반 약화

  6. 의료 AI 검증 부족

    • 의료 현장에 AI ‘선 시도 후 평가(try-first)’ 문화 권장.

    • 엄격한 실증 평가 없이 AI 도입 시 환자 안전 및 신뢰성 문제 발생 가능성

📌 정책적 시사점

  • AI 전략이 규제 철폐에 치중되어 있고, 공공 기관의 연구역량은 약화되고 있음

  • 표현의 자유, 공정성, 안전성, 국제 협력 균형에 대한 보다 정교한 정책 설계 필요

  • 동맹국과의 기술 연계 및 글로벌 신뢰 확보를 위해 미국의 ‘전면 수출형 AI 전략’은 재검토 필요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칼럼] 미래 인재상, T자형 하이브리드로 설계하라

[인사이트] "연구용 AI"의 등장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AI의 기반 : 데이터부터 시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