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논문 표절율(유사도) 줄이는 방법
AI로 논문 표절율(유사도) 줄이는 방법(가이드)
* 이 내용은 단순히 표절검사 시스템에서의 표절율을 줄이기 위한 테크닉이 아니라
논문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표현을 독창적으로 변환하는 전략에 초점을 두었다.
표절율이 높게 나오는 원인
- 공용 문구·전형적 표현 : 학술 문장에서 반복하여 쓰이는 서술 (“본 연구는…을 목적으로 한다”)
- 단순 어휘 치환 : 단어만 바꾸고 문장 구조는 그대로 유지 → 검사에서 여전히 높은 유사도
- 인용·출처 누락 : 원 자료의 내용을 재작성했지만 출처 표기 안 함
- 번역 후 직역 형태 : 외국어 자료를 그대로 직역하면 구조 유사도가 유지됨
AI를 활용한 표절율 감소 전략
(1) 문장 구조 변경
- 원문 : "이 연구는 기후 변화가 농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변환 : "농업 생산성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을 본 연구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생성형AI 프롬프트 예시 :
“다음 문장을 같은 의미로, 문장 구조와 어휘를 바꿔서 다시 작성하되, 학술적 표현을 유지하라.”
(2) 다중 문장화와 합성
- 긴 문장을 2~3개의 짧은 문장으로 분할하거나, 짧은 문장을 합쳐 새로운 흐름으로 재작성
- 이는 검사 시스템의 ‘문장 단위 비교’를 피하는 데 효과적
(3) 동의어와 대체 표현 활용
- 전문 용어는 그대로 두되, 주변 어휘를 동의어·유사 어구로 치환
- 예) “분석하다 → 규명하다”, “영향을 미치다 → 작용하다”
(4) 데이터·사실 유지, 표현만 변경
- 수치·고유명사는 변형하지 않고, 서술 방식만 새롭게 구성
- 예) “20% 감소했다” → “감소율은 20%에 달했다.”
(5) 인용·출처 강화
- 원 자료 기반 내용은 AI로 재작성하더라도 출처를 명시
- AI 활용은 ‘표현 변환’일 뿐, 출처 표기의 의무를 면제하지 않음
표절율 감소 작업 절차
- 원문 분석 → 유사도가 높게 나올 가능성이 있는 문장 표시
- AI 변환 → 문장 구조·어휘 변경, 의미 유지
- 사람 검수 → 의미 변질·사실 오류 여부 확인
- 표절검사 → Turnitin·카피킬러 등 활용
- 재작성 → 유사도 높은 문장만 추가 수정
- 최종 검사 & 저장 → 수정 전·후, 검사 리포트 보관
AI 활용 시 주의사항
- 단순 치환 금지: AI가 단어만 바꾸는 수준이면 효과 적음
- 지시문 명확화: “데이터·의미는 그대로 두고, 문장 구조와 어휘를 바꿔라”
- 투명성 확보: 필요 시 ‘AI 표현 보정 사용’ 명시
- 최종 책임은 사람에게: AI 결과물은 반드시 직접 검토
"AI 변환 → 사람 검수 → 표절검사 → 재작성"
이 4단계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표절율 관리의 핵심이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