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를 연구논문을 윤문할 때의 연구윤리와 주의사항

생성형 AI를 연구논문을 윤문할 때의 연구윤리와 주의사항


1. 연구윤리와의 관계

  • 허용 가능 범위
    • 문법·맞춤법·어휘·가독성 개선 등 형식적·언어적 보완은 대부분 연구윤리 위반이 아님.
    • 전문 교정·교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ChatGPT를 ‘언어 보정 도구’로 활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제 없음.

  • 주의가 필요한 범위

    • AI가 연구 내용, 해석, 결론을 새로 만들거나 변경하면, ‘저작권·창작성 훼손’ 또는 ‘대필’로 간주될 소지 있음.
    • AI 생성 문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출처를 밝히지 않으면, 일부에서는 ‘표절’로 해석될 가능성 있음

2. 주의해야 할 점

  • 활용 범위 명확화 : “문장 다듬기” 수준에 한정하고, 데이터·결과·논리 구조 변경 금지
  • 기록과 투명성 확보 : 

    AI 요청문·응답문, 수정 전후 버전을 보관
  • 기관·학술지 규정 확인 : 

    일부 학술지·연구기관은 AI 사용 지침을 별도로 두고 있음
  • 의미 변질 방지 : 

    숫자, 고유명사, 인용문이 변형되지 않았는지 직접 검토

3. 표절검사 시스템 대응 및 체크리스트

  • AI로 윤문하면 표절률이 높게 나올 수도 있는 이유
    • AI가 흔히 쓰는 학술표현·전형적 문장 구조 재사용 → 기존 문헌과 유사도 증가
  • 대응 체크리스트

    1. AI 윤문 후 표절검사(예: Turnitin, 카피킬러) 실행
    2. 유사 판정 문장은 문장 구조 변형과 어휘 재선택으로 재작성
    3. 공용 문구(“본 연구는 …을 목적으로 한다”)는 변형
    4. 수정 후 재검사
    5. 최종본과 검사 보고서, 수정 로그 보관

4. 안전하게 활용하는 법

  • 요청문 예시
    • “다음 문단을 문법과 표현만 다듬어 달라. 의미·데이터·결론은 변경하지 말 것.”
  • 사람 검증 필수

    • AI 윤문 결과를 사람이 직접 확인하여 의미 변질·사실 오류 방지
  • 표절검사와 후속 수정

    • AI 윤문 후 반드시 표절검사 → 유사도 높은 문장은 재작성
  • 활용 사실 명시

    • 필요시 감사문(acknowledgment)에 “본 문서의 일부 문장은 AI 도구(ChatGPT)를 활용하여 교정·윤문하였다” 표기

5. 따라서

  ChatGPT를 활용한 윤문 자체는 연구윤리상 허용 가능성이 높지만,
   - 내용 개입을 최소화하고,
   - AI 사용 사실을 기록·투명화하며,
   - 표절검사 및 후속 수정을 거치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안전하다.
  즉, “언어 보정 도구”로만 활용하면 문제 가능성이 낮지만, 내용 생성·해석 변경은 금물이며, 사람의 최종 검증과 표절 관리가 연구윤리 준수의 핵심이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칼럼] 미래 인재상, T자형 하이브리드로 설계하라

[인사이트] "연구용 AI"의 등장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AI의 기반 : 데이터부터 시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