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딩 에이전트, 이들의 차이?
"AI 코딩 에이전트, 이들의 차이?"의 내용은 아래 링크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코딩 에이전트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의 거의 모든 측면에 관여하며 일상적인 존재가 됐다.
현재 사용 가능한 제품만 해도 12종이나 된다.
1. Amazon Q Developer
/dev
,/test
,/review
,/doc
,/transform
총 5가지 에이전트 제공- 코드 생성, 단위테스트 자동 생성, 문서화, 코드 리뷰, 자바 프로젝트 변환 등 다양한 역할 지원
- 프롬프트 컨텍스트에 워크스페이스·파일·저장된 프롬프트 등 5가지 정보 포함
- 오픈소스 기반 협업형 에이전트
- 터미널, 파일, 오류 로그 등을 감시하고 자동 감지 및 수정
- Anthropic Claude와 연동 우수, 사용자 승인 기반 채팅 지시 방식
3. Cursor (커서)
- VS Code의 포크 버전으로 자체 에이전트 내장
- Agent / Ask / Manual / Background 모드 구분
- 코드베이스 이해, 터미널 명령 작성 및 실행, Lint 오류 자동 수정, MCP 모델 실행 지원
- Mistral AI + All Hands AI 공동 개발한 오픈소스 에이전트형 LLM
- SWE‑Bench 기준 오픈소스 모델 중 최고 성능 주장
- 경량화되어 로컬 머신에서도 실행 가능, 복잡한 코드 생성에 대해 정교하게 반응
5. GitHub Copilot (코파일럿)
- 2025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빌드에서 발표된 공식 코딩 에이전트
- 이슈 할당 시 자동 구성 → 풀 리퀘스트 생성, 리뷰 → 병합 전 인간 승인 필요
- 코드 리뷰 에이전트로 초기 및 심화 리뷰 제공, 클릭 한 번으로 제안 반영 가능
6. Google Jules (구글 줄스)
- Gemini 2.0 기반 파이썬·자바스크립트 에이전트
- GitHub 저장소에 설치해 비동기 작업 수행 (버그 수정, 기능 추가, 문서 작성 등)
7. Lovable (러버블)
- 자연어 설명만으로 풀스택 웹앱 생성 가능한 Vibe 코딩 플랫폼
- 채팅 모드: 계획 수립 → 편집 모드로 전환돼 코드 생성
- Figma 디자인을 Builder.io 통해 React 기반 코드로 변환 가능
8. OpenAI Codex (코덱스)
- Codex와 Codex CLI로 구성
- 클라우드 기반 에이전트 및 터미널 환경에서 코드 구현, 질문 응답, 테스트 실행, PR 제안 등 병렬 작업 수행
- 보안 강화된 클라우드 샌드박스 환경에서 운영
9. Solver (솔버)
- 자동화 수준 4단계 목표 (소수 인간 개입으로 코드 작성)
- MCP 서버, Slack 연동, 프롬프트 이미지 삽입, 다중 언어 도커 기반 실행 지원
-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 및 런타임 확장으로 실험 영상 제공 가능
- VS Code, Cursor, VSCodium 등에서 플러그인 또는 명령줄 도구로 실행
- 스크린샷 읽기, Mermaid 다이어그램 생성, 빌드 실행, 코드 실행 및 오류 수정, 팀 협업 기능 지원
- 토큰 제한 없이, 사용량 기반 과금, Claude Sonnet 4 기반 모델 사용 중
- VS Code OSS 기반 Codeium → Cognition으로 인수된 프로젝트
- Cascade 에이전트: 채팅 인터페이스, 다중 파일 편집, 웹 검색, 이미지 참조, 지속 메모리, MCP 지원
- 최대 16개 모델 지원, 자체 SWE‑1 모델 포함
- 코드 복구, 단위 테스트 생성, 실시간 문제 해결 가능한 에이전트
- 현재 네 개 기본 에이전트 및 20개 이상 커스텀 에이전트 라이브러리 제공
- 사용자 정의 에이전트 설정 편집 경험도 흥미로움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