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제일 중요한 것은 데이터다" - 데이터 관리 기술의 흐름과 최근 AI와의 접점
"결국 제일 중요한 것은 데이터다"라는 말은 기술적 진화의 중심축이 ‘데이터 관리 기술의 발전’에 있음을 보여준다. 아래는 데이터 관리 기술의 흐름과 최근 AI와의 접점을 기술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1. 정형 데이터의 시대: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웨어하우스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DBMS)는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OLTP)에 최적화된 구조로, 주로 숫자·텍스트 중심의 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를 저장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는 분석 목적(OLAP)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나온 데이터를 모아 저장·정제·변환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구조
- 초기의 DW는 주로 금융·제조·유통 등에서 고객, 판매, 재고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
-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는 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여 고성능 분석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부상
2. 비정형 데이터의 부상: 데이터레이크
스마트폰, IoT, 소셜미디어의 폭발적 확산으로 인해 이미지, 로그, 영상, 센서 데이터 등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가 급증함.
이에 대응해 등장한 개념이 데이터레이크(Data Lake)
- 원시 데이터를 구조화 없이 통합 저장하는 대용량 저장소.
- 대표 기술 :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HDFS), Amazon S3
- 장점 : 유연한 저장, 확장성
- 단점 : 정제·관리되지 않은 데이터는 활용이 어려워 ‘데이터 늪(data swamp)’으로 전락 가능
3. 데이터레이크의 진화 : 데이터레이크하우스
데이터레이크와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 : 데이터레이크하우스(Data Lakehouse)
-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함께 저장·분석
- 쿼리 최적화, 메타데이터 관리 등 DW 수준의 효율성 제공
- 데이터브릭스(Databricks)가 주도적으로 개념을 정립
- Apache Spark 기반의 통합 분석 플랫폼
- AI/ML 활용에 최적화된 아키텍처 제공
- 아파치 아이스버그(Apache Iceberg)와 같은 개방형 테이블 포맷이 레이크하우스 구현에 핵심 역할
- 스노우플레이크와 데이터브릭스 모두 Iceberg 기반 기술을 채택하며 경쟁 중
4. AI 시대의 요구: AI-Native 데이터 관리 기술
AI 성능은 스케일링 법칙(Scaling Law)에 따라 데이터(Data), 연산능력(Compute), 매개변수(Parameter) 세 요소에 의해 좌우되며, 그중 많은 경우가 데이터 병목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는 단순히 양뿐 아니라 질과 구조, 시의성이 중요
이에 따라 데이터 전처리, 품질 관리, 데이터 거버넌스, MLOps(Machine Learning Ops) 등 고도화된 데이터 관리 기술이 중요해짐
스케일AI, Meta, Google DeepMind, OpenAI 등도 모두 고품질 데이터 수집·관리·가공에 대규모 투자
5. 요약 : 데이터관리 기술 발전 흐름
단계 | 주요 기술 | 핵심 특징 | 대표 기업 |
---|---|---|---|
1세대 | RDBMS, OLTP | 정형 데이터 처리 | Oracle, IBM DB2 |
2세대 | DW, OLAP | 분석용 데이터 적재·정제 | Teradata, Snowflake |
3세대 | 데이터레이크 | 비정형 데이터 저장 | AWS S3, Hadoop |
4세대 | 레이크하우스 | 정형+비정형 통합 분석 | Databricks, Snowflake |
5세대 | AI-Native Data Infra | AI 학습용 고품질 데이터 파이프라인 | Scale AI, Databricks, Meta |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