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Foundry의 「AI 우선순위 연구 2025」의 핵심 내용

Foundry의 「AI 우선순위 연구 2025」 보고서의 핵심 내용



1. 전반적 평가

  • 조사 대상: 전 세계 902명 IT 의사결정자
  • 핵심 주제: 기업의 AI 도입 현황, 전략, 예산, 우선순위, 과제 등
  • 핵심 메시지: AI는 ‘열풍’에서 ‘현실적인 도입’ 단계로 전환 중이며, 전사적 확산과 전략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2. AI 도입 현황과 단계

  • AI 탐색/조사 단계 기업 비율: 41% (2023년 50% → 감소)
  • 시범 운영 중인 기업: 21% (2023년 24% → 감소)
  • 사업 부서 도입: 16% (2023년 13% → 증가)
  • 전사적 도입: 15% (2023년 8% → 증가)
  • 고성장 부문: 하이테크, 금융서비스, 중남미 지역


3. 도입 목적 및 사용 사례

  • 상위 비즈니스 목표:
    • 직원 생산성 향상 (68%)
    • 고객 서비스 개선 (55%)
    • 혁신/신제품 개발 (54%)
  • 핵심 사용 사례:

    데이터 분석 (59~65%)
    • 직원 생산성 (52~58%)
    • 고객 서비스, 프로세스 자동화 등

4. 생성형 AI의 영향

  • 61%: 생성형 AI가 제품 개발·설계에 긍정적 영향
  • 60%: 고부가가치 업무 집중 기대
  • 53%: 인력 감축 등 부작용 가능성도 인지


5. 예산 및 투자 추이

  • AI 전용 예산 보유 기업: 49% (2023년 36% → 증가)
  • 예산 평균 비중: 전체 IT 예산의 23%
  • 예산 증액 예상: 53%
  • 투자 계획 확정 기업: 40%
  • 북미, 중남미, 하이테크 부문에서 예산 증가 전망 높음


6. 기술적 과제 및 역량 부족

  • 주요 과제:
    • AI 통합의 복잡성 (거버넌스·보안 포함): 47%
    • ROI 확보 어려움: 38%
    • 사내 AI 전문 인력 부족: 37%
  • 필요한 역량:

    • 설명가능한 AI, 사이버보안 AI, 자동화
  • 조직의 만족 영역:

    • 생성형 AI 기술(33%), 윤리적 AI(31%)

7. IT 부서의 역할

  • 제품 기술 요건 정의: 28%
  • 제품 평가 및 벤더 선정: 22~25%
  • 협력 부서: 고객 서비스(50%), R&D(40%), 마케팅(29%) 등
  • 의료 및 제조 부문은 IT 부서와의 협업이 활발


8. 산업별·지역별 특징

  • 중남미: 예산 확보율 높고 전사적 도입률도 높음
  •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직원 생산성 강조
  • APAC(아시아태평양): AI 도입률 낮지만 관심은 높음
  • 북미: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자동화에 집중
  • 산업별 AI 제품에 대한 관심: 전체 74%, 의료 79%, 하이테크 73%


9. 조직의 변화와 전망

  • 새로운 AI 직무 도입 확대:
    • 데이터 과학자(26%), 챗봇 개발자(21%), ML 엔지니어(20%)
  • 자체 AI 개발보다 벤더 제품 선호(59%)
  • 산업 특화 AI 솔루션에 대한 관심 급증
  • 벤더와의 협업 확대(44%가 신규 파트너 추가)

10. 결론

  • AI 도입은 현실적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기업은 AI를 단독 기술이 아니라 ‘IT 시스템의 필수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
  • 변화 관리, 조직 내 협력, 거버넌스 구축, 교육과 인재 확보가 향후 AI 성숙도의 핵심임.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칼럼] 미래 인재상, T자형 하이브리드로 설계하라

[인사이트] "연구용 AI"의 등장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Local Deep Research : 로컬 환경에서 OpenAI의 Deep Research와 유사하게 동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