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검색 시대에도 구조화 데이터는 여전히 필수적”
구조화 데이터는 여전히 핵심이다
구글은 AI 검색 기능이 도입된 이후에도 구조화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하였다. 구조화 데이터는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색인화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며, AI 검색 결과에서도 보다 정밀한 정보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검색 결과 페이지(SERP)에서 눈에 띄게 노출되는 콘텐츠일수록 구조화 데이터의 적용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AI 검색 시대를 위한 별도 최적화는 불필요하다
구글은 새로운 AI 검색 기능을 위한 별도의 SEO 전략은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하였다. 기존의 SEO 모범 사례를 유지하는 것이 여전히 유효하며, AI 검색의 활용 정보는 기존 검색 콘솔에서 통합적으로 제공되고 있어 별도 리포트로 분리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검색 패턴이 변화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기존 SEO 원칙을 꾸준히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AI 검색 결과에서 콘텐츠 제어는 가능하다
콘텐츠 제공자는 자신이 작성한 콘텐츠가 AI 검색 결과에 어떻게 노출될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메타 태그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meta name="robots" content="nosnippet">
, <div data-nosnippet></div>
, <meta name="robots" content="max-snippet: 42">
등의 태그가 있다. 이는 기존 검색 스니펫 제어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AI 결과에서 특정 콘텐츠의 노출을 제한하거나 조정할 수 있게 한다.
AI 검색 결과 생성의 구조
구글은 대형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AI 검색 결과 생성 방식의 과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
-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 검색 시스템이 관련 정보를 색인에서 추출하고,
- 이 정보를 바탕으로 LLM이 '그라운딩(grounding)'되며,
- 최종적으로 LLM이 지원 링크와 함께 응답을 생성하게 된다.
결론
AI 검색 시대에도 구조화된 데이터는 여전히 SEO의 핵심 요소이다. 콘텐츠 제공자는 별도 최적화보다는 기존의 SEO 전략을 유지하되, 구조화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AI 검색 결과에서 콘텐츠 노출을 원할하게 조정하기 위한 메타 태그의 활용 역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