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텍스트의 지표 : AI가 생성한 글을 구별할 때


"AI 텍스트의 지표"란 인간이 작성한 글과 AI가 생성한 글을 구별하거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문체적, 통계적, 구조적 단서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표는 AI 탐지기 개발, 저작권 보호, 학술 부정 방지, 생성형 AI의 신뢰성 평가 등에 매우 중요하다.

✅ 1. 언어적·문체적 지표 (Linguistic & Stylistic Features)

구분설명AI 텍스트 특징
어휘 다양성 (Lexical Diversity)다양한 단어를 사용하는 정도낮은 편 (반복적 단어 사용)
평균 문장 길이문장당 단어 수일정한 길이 유지, 중간 정도
전형적 표현 패턴자주 사용하는 문장 구조"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ne key aspect is..." 등
중립적·완곡한 어조감정이 배제된 설명 위주강한 감정보다는 중립적 기술 선호
전환어 사용 빈도furthermore, however, in conclusion 등과도하게 체계적인 전개
동어반복같은 개념을 다른 말로 반복의미 변화 없이 다양한 표현 사용
관계절/수식어 과다명사를 수식하는 문장 삽입긴 복합문으로 설명적 어투 유지

✅ 2. 형식·구조적 지표 (Structural Features)

구분설명AI 텍스트 특징
제목-본문 간 일관성제목과 내용이 얼마나 밀접한가매우 일치, 주제 중심으로 구성
단락 구조의 규칙성서론-본론-결론의 구성 여부고정된 구조 자주 사용
문단 길이 균등성문단마다 길이가 일정한가일정한 분량 유지 경향
논리 전개 방식논거, 사례, 결론의 연결 방식예측 가능한 흐름 (ex. 주장→근거→요약)

✅ 3. 통계적 지표 (Statistical Features)

지표설명특징
퍼플렉서티 (Perplexity)텍스트가 얼마나 예측 가능한지를 수치화한 값낮을수록 AI 가능성 ↑
버스트니스(Burstiness)문장마다 길이, 어휘의 변동성AI는 균등한 버스트(즉, 낮은 변동성)
n-그램 반복율특정 단어 조합(n-gram)이 반복되는 비율GPT는 자주 쓰는 조합 반복 경향 있음
자기일치성(Self-similarity)문단 간 유사도AI는 유사한 문장구조 반복 ↑

✅ 4. 기호·문장 부호 지표 (Punctuation & Symbol Use)

요소AI 텍스트 경향
엠 대시 (—)강조 표현으로 자주 사용됨
콜론 (:)설명 연결용으로 많이 등장
세미콜론 (;)인간보다 자주 쓰는 경우 많음
인용부호 (“”)직접 인용보다 설명적 재진술 선호

✅ 5. 의미적 지표 (Semantic Features)

항목AI 경향
맥락 일관성문맥 흐름은 부드럽지만 깊이는 부족한 경우 많음
창의성아이디어는 논리적이지만 기발함·독창성 부족
감정 표현감정을 담기보다는 설명에 치중
사실 오류 유무사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틀린 정보 포함 가능성 있음 (hallucination)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칼럼] 미래 인재상, T자형 하이브리드로 설계하라

[인사이트] "연구용 AI"의 등장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AI의 기반 : 데이터부터 시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