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OA기관 리포지토리 : 접근성 정책과 실행이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

Spina, Carli; Lougen, Colleen; Jensen, Jennifer Keller. “Access for Whom? An Examination of Public-Facing Accessibility Practices in Library Accessibility Alliance Members' Open Access Institutional Repositories”. 0.31274/ jlsc.18208

오픈 액세스 기관 저장소의 접근성 실천 연구 (요약)

1. 연구 개요

이 연구는 미국의 기관 리포지터리(Institutional Repositories, IRs)에서 공공 접근성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오픈 액세스(Open Access, OA) 자료가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공공 접근성 실천 사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Library Accessibility Alliance(LAA) 소속 기관의 IR이다.

2. 연구 방법

이 연구는 환경 스캔(Environmental Scan) 기법을 사용하여 LAA 기관의 IR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에서는 IR이 제공하는 접근성 정보, 지원 문서, 메타데이터, 연락처 정보 등을 검토하여 평가하였다.

3. 주요 연구 결과

  1. 접근성 관련 연락처 정보 제공 여부

    • 조사 대상 기관 중 두 곳을 제외한 모든 기관이 접근성 관련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이를 통해 이용자가 접근성 문제를 문의하거나 수정 요청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2. 접근성 문서 제공 여부

    • 절반 이상의 기관이 IR 접근성 문서를 제공하고 있다.
    • 그러나 일부 기관은 기관 차원의 접근성 문서만 링크하고 있으며, IR 자체적인 접근성 정책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3. 연구자 지원 제공 여부

    • 전체 기관 중 25% 미만만이 연구자들에게 접근성을 고려한 제출 방법을 지원하고 있다.
    • 접근성 관련 제출 지침을 제공하는 기관이 적으며, 연구자들이 접근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부족하다.
  4. 아이템 레벨 메타데이터 활용 여부

    • 3개 기관만 접근성 정보를 메타데이터에 포함하고 있다.
    • 접근성을 위한 추가적인 태깅이나 설명이 부족하며,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접근성 강화가 필요하다.

4. 결론 및 시사점

일부 기관 리포지터리(IR)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접근성 정책과 실행이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 모든 IR이 접근성 문서를 제공하도록 표준화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연구자들이 접근성 요구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 아이템 수준의 접근성 메타데이터 제공을 늘려야 한다.

오픈 액세스의 목표는 누구나 연구 자료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접근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으면,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이 연구 자료를 활용하는 데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IR이 진정한 오픈 액세스 철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접근성 정책을 강화하고, 연구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칼럼] 미래 인재상, T자형 하이브리드로 설계하라

[인사이트] "연구용 AI"의 등장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AI의 기반 : 데이터부터 시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