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깅페이스, 개방형 AI의 중요성 강조
(* 이 내용은 허깅페이스 블로그에 올려진 '백악관 AI 액션 플랜에 대한 응답'이라는 글에서 "오픈 소스 모델의 역량을 놓치지 말 것을 강력하게 주장한다"라고 밝힌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한 것이다. )
허깅페이스(Hugging Face)는 2025년 3월 14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이 요청한 ‘AI 액션 플랜 RFI’에 대한 공식 응답을 발표했다. 이 응답의 핵심은 개방형 AI(Open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세 가지 주요 권고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 미국 백악관은 미국의 글로벌 AI 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AI 액션 플랜(AI Action Plan)’ 작성을 목적으로 각계에 정책 제안을 공개 요청한 바 각계에서 의견을 내고 있다.
🔹 개방형 AI 모델의 가치
- 개방형 AI는 상업 API 기반 모델보다 투명성, 적응성, 과학적 타당성 면에서 우수함
- 최근 Hugging Face의 OlympicCoder나 AI2의 OLMo 2와 같은 개방형 모델들이 상용 모델을 능가하거나 대등한 성능을 보임
- 이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개발이 AI 성능·보급·안전성의 핵심”이라는 점을 시사함
🔸 Hugging Face의 3대 정책 권고
권고 1: 개방형 소스 및 과학을 AI 성공의 기반으로 인식하라
- 현재의 고성능 AI 시스템은 대부분 오픈 리서치와 오픈 소스(예: PyTorch, Transformers 라이브러리)에 기반하고 있음
- 공공 인프라(연구, 컴퓨팅, 데이터)에 대한 투자가 필수
- 특히 소규모 개발자·연구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기술 민주화와 경제적 파급력이 커짐
🔍 AI 기술의 공공재화를 위한 정책 기반 마련 요구. 이는 ‘AI 리터러시’ 향상과도 직결.
권고 2: 효율성과 신뢰성 중심으로 혁신을 확장하라
- 자원이 제한된 기관이나 조직들도 AI를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경량화된 모델, 중간 규모 학습법, 에지 디바이스 적용 가능 모델 등이 필요
- 특히 보건의료, 교육 등 고위험 영역에서 범용 모델의 신뢰성 한계를 지적함
🔍 ‘작고 똑똑한’ AI가 필요한 시대. AI개발의 접근성과 다양성 확보가 기술확산의 열쇠라는 시각
권고 3: AI 보안을 위해 개방성과 추적 가능성, 투명성을 확보하라
- 오픈소스의 사이버보안 경험을 AI 개발에 적용 가능
- 훈련 데이터, 알고리즘, 모델 가중치 등을 공개하여 투명성 기반의 신뢰 구축 필요
- 에어갭(차단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오픈 가중치 모델은 정보보안에 유리함
🔍 투명성과 신뢰를 강조하는 ‘책임 있는 AI 개발’ 방향. AI규제와 인증체계에 중요한 시사점
Hugging Face의 응답은 단순한 기술적 입장이 아닌 공공성과 민주성을 기반으로 한 AI 철학의 선언이라 볼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정책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 개방형 AI는 성능·보안·경제효과 면에서 국가적 전략의 핵심 자산이 될 수 있다.
- AI 관련 인프라(데이터, 연산, 툴)는 공공 접근성을 전제로 한 투자가 필요하다.
- 기술의 독점과 폐쇄성이 아닌 투명성과 협력 기반의 생태계 조성이 AI의 장기적 발전을 이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