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들이 오픈 소스로 개방 하지 않을 경우 중국이 AI 공급망을 지배할 수도 있다"
'AI 4대 천왕’중 1인으로 불리는 석학인 앤드루 응(Andrew Ng) 스탠퍼드대 교수를
조선일보가 화상 인터뷰를 하였다. (조선일보, 2025. 2. 21)
조선일보가 화상 인터뷰를 하였다. (조선일보, 2025. 2. 21)
아래 내용은 응 교수의 발언 내용이다.
“미국 빅테크 기업이 지금처럼 폐쇄적인 시스템을 고수한다면 ‘오픈 소스’ AI 생태계가 구축된 중국이 글로벌 ‘AI 공급망’을 지배하게 된다”
“미국 빅테크 기업이 지금처럼 폐쇄적인 시스템을 고수한다면 ‘오픈 소스’ AI 생태계가 구축된 중국이 글로벌 ‘AI 공급망’을 지배하게 된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오픈 소스를 장려하고 있는데 이런 정책이 중국 내 AI 개발을 촉진한 이유 중 하나라고 본다”
“중국은 최근 2년간 미국을 집중적으로 따라잡았고 딥시크 외에도 기능이 놀라운 AI가 적지 않다. 일부 AI 분야는 이미 중국이 미국을 넘어섰다”
"중국의 AI가 오픈소스를 통해 (빠르게 발전해) 미국의 폐쇄형 AI를 뛰어넘고 세계에 AI 공급망을 넓혀나가면 전 세계 많은 AI 시스템이 중국의 가치를 반영하게 된다. 나는 미국을 비롯한 다른 자유 진영 국가들이 (중국의 오픈소스 AI에 대해) 함께 대응하지 않으면 중국이 AI 공급망을 지배하고 많은 AI 시스템이 중국의 가치를 반영하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생성형 AI가 나오기 전부터 중국은 미국보다 앞선 ‘감시 기술’을 확보한 상태였다. 이는 중국이 (감시 기술과 관련해) 정부의 지원까지 받아가며 개발을 하는 반면 미국의 많은 기업은 (사생활 보호 등의 문제로) 감시 기술을 꺼렸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이 때문에 지금도 여러 국가가 미국이 아닌 중국에서 감시 시스템을 구매한다. 결과적으로 많은 나라가 미국 등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가치보다 중국의 가치를 더 잘 반영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국과 다른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이 분야에서 앞서나갈 기회를 이미 중국에 잃었다.”
“인간은 이미 AI를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한다. 예컨대 동의 없이 성적(性的) 대상이 될 인간의 이미지를 만들고, AI를 사용해 거짓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AI뿐만 아니라 전기나 증기 기관 등 모든 범용 기술은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됐다. 다행히 유익한 용도의 수가 악의적인 수를 훨씬 넘어선다.”
“사람은 전기를 이용해 다양한 용도의 제품을 만들어 사용한다. AI도 마찬가지다. 이를 이용한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은 AI를 이용해 소매업자들이 더 나은 가격을 책정하도록 돕고, 미 앨라배마에선 정찰 드론이 경찰을 공격하려는 사람을 발견해 경찰 지원을 요청함으로써 경찰관의 생명을 구하기도 했다. 다만 기업들이 막대한 자본을 투자해 모델을 개발한 뒤 어떻게 (전기에 버금가는) 경제성을 확보할지는 여전히 큰 도전 과제로 남았다.”
‘AI 4대 천왕’은,
- 제프리 힌턴(Geoffrey Everest Hinton)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 얀 르쿤(Yann LeCun) 뉴욕대 교수
-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 앤드루 응(Andrew Ng) 스탠퍼드대 교수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