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공공부문 AI 트렌드 2025’ 보고서 : 'AI거버넌스 강화'

https://cloud.google.com/resources/ai-trends-public-sector?e=48754805&hl=ko
 

이 내용은 구글이 IDC에 의뢰하여 미국 연방 정부 AI 책임자 및 의사결정권자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고, 공공 기관의 50%가 AI 활용 성숙도에서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고 하며, 2025년 공공 부문 AI 혁신이 기관 운영 방식의 변화를 유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2025년 공공 부문 AI 트렌드 (5가지 핵심 변화)

  1. 멀티모달 AI 도입

    •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입력 및 출력으로 활용
    • 공공 데이터와 구글 어스, 지도, 웨이즈(Waze) 등의 결합을 통해 의사 결정 개선 및 공공 인프라 최적화
  2. AI 에이전트의 진화

    • 기존 단순 챗봇에서 복잡한 처리가 가능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발전
    • 공무원의 데이터 인사이트 강화, 보안 위협 사전 탐지, 업무 효율 향상 지원
  3. 보조 검색(Assistive Search) 도입

    •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검색 정확성과 데이터 접근성 개선
    • 시멘틱 검색, 자동화된 메타데이터 생성, 고급 문서 전사 기능 제공
  4. AI 기반 시민 경험 향상

    • 맞춤형 AI 서비스 도입으로 민원 업무 속도 및 정확성 개선
    • 연중무휴, 다국어 지원 등의 기능 제공
  5. 보안 강화

    • AI 보급 증가로 인한 보안 위협 발생 가능성 상승
    • AI를 활용한 위협 탐지, 데이터 분석, 신속한 사고 대응을 통한 보안 강화
    • 공공 기관은 AI 보안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 및 대비 필요

따라서 AI 활용을 통한 정부 기관의 효율성 및 의사 결정 개선이 가속화되므로, AI 거버넌스 강화, 대중 신뢰 구축, 보안 최우선 전략이 중요하고, AI를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배포하기 위한 AI 리더 임명 및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함.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칼럼] 미래 인재상, T자형 하이브리드로 설계하라

[인사이트] "연구용 AI"의 등장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AI의 기반 : 데이터부터 시작하라